손해평가사 공부

[1차-3과목] 재배학 및 원예작물학(6) - 원예작물

mo-onzzi 2024. 12. 5. 16:56

7. 원예작물

1) 원예작물의 분류

(1) 과수의 분류

인과류 : 꽃받기와 씨방이 함께 발육하여 자란 열매 = 위과 // 사과, 배, 모과 등

준인과류 : 감, 감굴류, 오렌지 등

핵과류 : 암술의 씨방이 발육하여 자란 열매 = 진과 // 복숭아, 앵두, 자두, 살구, 대추, 매실 등

견과류(각과류) : 호두, 개암, 밤, 아몬드 등

장과류 : 송이로 맺히는 열매 // 포도, 무화과, 석류, 나무딸기 등

 

(2) 채소의 분류

열매채소(과채류) 가지과 가지, 토마토, 고추
콩과 완두, 잠두, 땅콩
박과 수박, 호박, 참외 오이, 메론
기타 딸기, 옥수수
잎줄기채소(옆경채류) 엽채류(잎) 배추, 상추, 시금치, 쑥갓
경채류(줄기) 죽순, 아스파라거스, 토당귀
인경채류(비늘줄기) 양파, 파, 마늘
화채류(꽃) 꽃양배추(콜리플라워), 모란채(브로콜리)
뿌리채소(근채류) 직근류(뿌리가 곧음) 무, 당근
괴근류(뿌리가 뭉퉁) 고구마, 마
괴경류 감자, 토란
근경류 생강, 연근

>>식용부위에 따른 분류

1년생 채소 가지, 오이, 토마토, 호박, 시금치
다년생 채소 딸기, 연근, 파, 미나리, 아스파라거스

>> 자라는 기간에 따른 분류

고온채소(호온성 채소) 가지, 토마토, 고추, 수박, 참외, 호박
저온채소(호냉성 채소) 무, 배추, 양파, 시금치, 파, 미나리, 딸기

>> 온도의 요구도에 따른 분류

 

(3) 화훼의 분류

생육습성에 따른 분류 초화(일년초) 채송화, 봉선화, 접시꽃, 맨드라미, 나팔꽃, 스모스, 스토크
숙근초화 국화, 옥잠화, 작약, 카네이션, 스타티스
구근초화 글라디올럿, 백합, 튤립, 칸나, 수선화
화목류 목련, 개나리, 진달래, 무궁화, 장미, 동백나무
화성유도에 필요한 일장에 따른 분류 장일성 글라디올러스, 시네라리아, 금어초
단일성 코스모스, 국화, 포인세티아
중간성 카네이션, 튤립, 시클라멘
수습의 요구도에 따른 분류 건생 채송화, 선인장
습생 물망초, 꽃창포
수생

 

2) 원예작물의 수확 후 생리작용

(1) 수확 후 호흡작용

① 수확 후 호흡작용의 의의

- 과실의 호흡은 저장양분이 산화되어 영양분이 소모되는 과정이다.

② 수확 후 호흡작용과 저장성

- 호흡이 왕성한 품종은 저장성이 약하다.

- 호흡하는 동안 발생하는 호흡열은 과실을 부패시키는 원인이다.

- 호흡열은 저장수명을 단축시킨다.

- 호흡을 억제하는 저장방식으로 CA저장방식이 있다. CA(Controlled Atmosphere Storage)은 저온저장방식에 가스농도 조성을 조절(산소농도는 낮추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높이고)기술을 추가하는 것이다.

- 산소는 8%이하, 이산화탄소는 1% 이상

 

③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온도

온도가 10도 상승함에 따른 호흡작용의 증가 배수를 호흡량의 온도계수라 한다.

- 스트레스

호흡률이란 호흡으로 발산되는 이산화탄소량을 호흡에 필요한 산소량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 산소의 농도

수확 후 원예생산물은 산소호흡(호기성호흡)을 한다.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무기호흡(혐기성호흡)을 하게되고, 무기호흡이 진행되면 이취가 발생하게 된다.

 

④ 호흡상승과(climacteric fruits) 와 비호흡상승과(non-climacteric fruits)

- 호흡상승과(climacteric fruits)

작물이 숙성함에 따라 호흡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 // 사과, 토마토, 감, 바나나, 복숭아, 키위, 망고 등

- 비호흡상승과(non-climacteric fruits)

숙성하더라도 호흡의 증가를 나타내지 않는 과실 // 오이, 호박, 가지, 딸기, 수박, 포도, 오렌지, 파인에플, 감귤 등

 

(2) 수확 후 증산작용

① 수확 후 증산작용의 의의

증산작용이 이루어지면 수분이 많이 빠져나가게 되고, 원예작물의 신선도가 떨어지고 저장성이 약화된다.

 

② 증산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습도가 낮을수록

- 온도가 높을수록

- 표면적이 클수록

- 풍속이 빠를수록

>> 증산이 증가한다.

 

(3) 에틸렌과 저장성

① 에틸렌의 생성

- 에틸렌의 생성량의 변화는 호흡량의 변화양상과 일치한다. 호흡이 급격히 증가하면 에틸렌의 생성량도 급격히 증가한다.

- 대부분 수확 후 노화가 진행될 때나 과실이 숙성되는 동안 에틸렌이 발생한다.

-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에틸렌이 발생한다.

- 에틸렌은 일단 생성되면 스스로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자가촉매적 성질이 있다.

- 공기 중의 산소는 에틸렌의 발생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산소농도가 6%이하가 되면 에틸렌의 발생이 억제된다.

 

② 에틸렌과 저장성

- 장기간 저장을 위해서는 에틸렌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 오이, 수박 > 과육이나 과피를 연화시켜 저장성을 떨어뜨린다.

- 오이, 당근 > 쓴맛을 유기한다.

- 상추 > 갈변현상을 유기한다.

- 사과, 복숭아, 토마토, 바나나 는 에틸렌을 다량으로 발생하는 품종

- 감귤류, 포도, 신고배, 딸기, 엽채류, 근채류등은 에틸렌을 미량으로 발생하는 품종

 

③ 에틸렌의 작용억제

- 자오황산은(STS), 1-MCP, AOA, AVG 등은 에틸렌을 억제한다.

- 6%이하의 저농도산소는 에틸렌 합성을 차단한다.

 

④ 에틸렌의 제거

- 팔라디움(Pd)과 염화팔라디움(PdCl2)은 고습도 환경에서도 높은 에틸렌 제거능력을 보인다.

- 목탄(숯) 및 활성탄은 에틸렌 흡착제로서 효과가 있으나 높은 습도 조건하에서는 흡착효과가 떨어지므로 제습제를 첨가한 활성탄이 이용된다.

- 합성 제올라이트(zeolite)가 에틸렌 제거제로 판매되고 있다.

- 과망간산칼륨(KMnO4), 오존, 자외선 등도 에틸렌 제거에 이용된다.

 

3) 특수원예

(1) 시설재배

① 시설재배의 개념 : 플라스틱하우스나 유리온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원예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말한다.

② 시설재배의 필요성

- 노지재배와 달리 제철이 아닌 때에의 공급이므로 높은 가격으로 출하되어 수익성이 좋은 편이다.

③ 시설의 자재

- 골지자재 (골격을 세우는) : 목재, 경합금재, 강재 등이 있으며, 경합금재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 피복자재 (골격을 덮어주는)

> 피복자재로는 유리나 플라스틱 필름이 있고, 추가피복재로는 부직포, 거적 등이 있따.

> 연질필름 : 두께 0.05~0.1mm // 폴리에틸렌필름, 염화비닐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필름

> 경질필름 : 두께 0.1~0.2mm // 폴리에스테르필름

> 경질판 : 두께 0.2mm이상의 플라스틱판

- 피복자재의 요건
광선투과율은 높고 열선투과율은 낮아야함
열전도율은 낮아야 함
보온성이 좋아야 함
수축 및 팽창이 작아야함
충격에 강해야함
내구성이 좋아야 함

 

④ 시설 내의 환경관리

- 시설내의 온도

저온-> 노균병, 균핵병, 쟂빛곰팡이병 발생 가능

고온 -> 시들음병, 풋마름병, 탄저병, 덩굴쪼김병 발생 가능

- 시설내의 환기

- 시설내의 습도

건조 -> 진딧물, 응애 발생 가능

- 시설내의

- 시설내의 토양

- 시설내의 이산화탄소 시비

 

(2) 양액재배

① 양액재배?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에 비료분을 용해한 배양액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것

② 양액재배의 특징

- 연작장애가 발생하지 않는다.

- 재배의 생력화가 가능하다.

- 청정재배가 가능하다.

- 토양전염성 병충해가 적다.

- 완충작용이 없으므로 작물에 대해 민감하게 작용한다.

- 시설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③ 양액재배의 종류

역경재배 : 식물체를 자갈에 고정시키고 배양액을 정기적으로 순환시켜 물, 양분, 산소를 공급하는 것
수경재배 : 모래나 자갈 없이 물과 산소만으로 재배하는 것
사경재배 : 모래를 사용하고 배양액을 관수를 겸하여 공급하는 방법
분무수경재배 : 역경재배와 수경재배의 중간 형태로 배양액을 분무해주어서 재배하는 것

 

④ 양액재배의 입지조건

- 질 좋은 물을 다량으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곳

- 배수가 잘 되는 곳

- 일조가 좋은 곳

 

(3) 식물공장(plant factory)

- 식물공장은 완벽한 환경제어를 통하여 작물을 공산품처럼 생산하는 농업생산체계를 의미한다.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규격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이다.